새로운 도전을 꿈꾸며_녹의 강산
반응형

파렛트 2

일반하역론 (항만 하역료 / 항공하역)

항만하역료 항만 하역료의 산정 하역료 중 본선 신항 내 하역노임을 선주, 화주 중 누가 부담하느냐의 결정은 선화주간의 용선계약에 따르나 정기선의 경우 선주 부담이 통용된다. 일당 양하책임량은 용선계약에 따라 정해지며 선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만톤급 선박의 경우 통상적으로 1일 1000톤이며, 양하시간은 주야 구분없이 24시간을 기준으로 이뤄진다. 1. 정박허용시간(Laytime Allowed) : 용선에 적재된 화물은 일정기간 내에 하역작업을 완료하여야 한다. 정박허용기간 = 선적량 / 일당양하 책임량 2. 양하준비완료 통지(N/R : Notice Of Readiness) : 선장은 입항지에 선박이 정박되면 적재된 화물의 양하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문을 작성하여 수화주에게 정식으로 전달하게 되..

물류 2023.06.29

일반하역론 (하역기계화 / 고려요소 / 파렛트 정의 / 규격 / 여담)

하역 기계화 하역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인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화물들의 하역을 위해서는 기계의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하역 기계화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1. 중량 화물의 적재, 2. 많은 인적 노력이 필요한 화물, 3. 액체, 분체 등의 인력으로 취급하기 어려운 화물, 4. 인력으로 시간 내에 작업이 어려운 화물, 5. 대량의 벌크, 해상 운송 화물, 6. 작업장 고가 높아 상하차가 어려운 화물, 7. 인적 접근의 어려움 또는 수동화로는 하역이 어려운 화물, 8. 유해화물 또는 혹서/혹한기의 작업장 하역기기 선정 고려요소 1. 화물의 특성 : 포장 되지 않은 물품 등은 특성을 고려하여 분포, 비중, 크기, 중량, 형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작업환경의 특성 : 작업 창고의 특성 (전용 / 공용..

물류 2023.06.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