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을 꿈꾸며_녹의 강산
반응형

안전재고 2

보관하역론 (재고관리 3)

재고관리시스템의 구성 재고관리시스템의 기본 모형 정량발주법 : 발주시기는 일정하지 않지만 발주량은 정해져 있다. 정기발주법 : 발주시기는 일정하여 정기적이지만 발주량은 일정하지 않다. 서비스율 : 고객에 대한 서비스율을 100%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상품의 재고를 충분히 보유해야 한다. 그럴 경우는 보관비, 관리비, 인건비 등 막대한 재고유지비용이 들어 총재고 비용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기업측면에서 고객에게 제공하여야 할 적정 서비스율을 결정하여야 한다. 서비스율은 다음과 같은 관계로 나타낸다. 이것은 수욕를 얼마나 충족시켰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서비스율 = 출하량 / 수주량 *100 서비스율 = 납기 내 납품량 / 수주량 *100 백오더율은 1-서비스율로서 납기 내에 납품되지 못한 주..

물류 2023.07.05

보관하역론 (재고관리 1)

재고관리 재고의 개요 개념 제품, 반제품, 재료 등의 형태로 보관하거나 수송하는 중의 자산을 말한다. 경제적 가치를 지닌 유휴상태의 자원 또는 미래에 사용하기 위하여 기업이 준비하여 보관하고 있는 유휴의 재화, 원자재 또는 자산을 말한다. 생산에서 판매까지의 유통단계에 대한 유통재고, 공장에서의 생산재고, 비축을 위한 재고 등이 있다. 재고의 필요성 고객서비스의 향상 : 기업 내부의 생산시스템에 원활한 자재 공급을 함으로써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재고를 통해 제품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비용절감 : 재고 보유는 보관비 등의 관련비용을 발생시키지만, 운반비 등 다른 부문의 비용을 간접적으로 줄일 수 있다. 재고의 역할 생상량과 수요사이의 완충 역할 구매와 수송활동..

물류 2023.07.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