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을 꿈꾸며_녹의 강산
반응형

녹색 7

재배학원론 (작물 품종과 유전육종 4)

화분 및 배낭의 형성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의하여 만들어진 반수체를 환원포자라고 하는데, 이 환원포자가 다시 유사분열을 하여 배우자를 형성한다. 개화식물의 약에 있는 수백 개의 환원포자는 반수체인 화분으로 발달한다. 성숙된 화분은 2개의 반수체 핵을 가지고 있다. 1개의 영양핵은 화분이 발아하여 주두를 침입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1개의 정핵은 화분관이 자라기 전이나, 정핵이 화분관에 들어간 다음 유사분열을 하여 2개의 정핵을 만든다. 대부분의 화본과작물들은 화분관에 들어간 다음에 분열을 한다. 2개의 정핵은 배우자로서 직접 수정에 관여한다. 꽃의 자성기관에서는 환원포자의 반수체의 자성생식기관인 배낭을 형성한다. 배낭은 배주에 있는 1개의 이배체 배낭 모세포가 2회의 감수분열을 거쳐 만들어진다. 일반적..

녹색/재배학 2023.07.11

재배학원론 (작물 품종과 유전육종 3)

생식방법 아포믹시스는 유성생식기관 또는 거기에 부수되는 조직세포가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를 만들어 종자를 형성하는 생식방법이다. 아포믹시스는 배를 만드는 세포에 따라 부정배형성, 무포자생식, 복상포자생식 등으로 나뉜다. 부정배형성은 배낭을 만들지 않고 주심 또는 주피 등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한다. 무포자 생식은 배낭을 만들지만 배낭의 조직세포가 배를 형성하며 부추나 파 등에서 발견된다. 복상포자 생식은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을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분열을 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포믹시스에 의한 종자는 수정을 거친 것이 아니므로 종자의 형태를 가진 영향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포믹시스 종자는 이형접합체라도 다음세대에 유전분리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유전자형을 유지할 수 있다. 무성..

녹색/재배학 2023.07.11

재배학원론 (작물 품종과 유전육종 2)

유전 변이 개체들 사이에 형질의 특성이 다른 것을 변이(variation)라고 한다. 형질의 변이는 유전적 요인으로 나타나는 유전변이와, 생명체의 내외적 환경요인에 의한 환경변이가 있다. 유전변이는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만 환경변이는 유전되지 않는다. 유전변이는 형질의 틀성에 따라서 형태적 변이와 생리적 변이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변이양상에 의해 불연속변이와 연속변이로 구분할 수 있는데, 꽃색깔이 붉은 것과 흰것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것과 같이 불연속변이하는 형질을 질적형질(qualitative character)이라 하고, 키나 무게 등 연속변이하는 형질을 양적형질(quantitative character)이라고 한다. 변이의 작성과 선발 작물육종은 형질을 개량하기 위해 자연변이를 이용하거나 인위적으로 ..

녹색/재배학 2023.07.08

재배학원론 (작물 품종과 유전육종 1)

작물의 품종과 계통품종 중에 재배적 특성이 우수한 것을 우량품종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 등 농업새산의 안정상 중요한 작물에 관하여 품종성능을 관리하기 위하여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사료용 품종은 제외한다. 그리고 고품질 종자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한 농업생산성 향상 등을 위해 국가품종목록 등재 대상작물의 종자를 생산할 때에는 종자보증을 해야 한다.계통 중에서 유전적으로 고정된 것을 순계(pure line)라고 하며, 자식성 작물은 우량한 순계를 골라 신품종으로 육성한다. 영양번식작물에서 변이체를 골라 증식한 개체군은 영양계(clone)이라고 하며 영양계는 유전적으로는 잡종상태(이형접합체)라도 영양번식에 의해 그 특성이 유지되기 떄문에 우량한 영양..

녹색/재배학 2023.07.08

재배학원론 (작물 품종과 유전육종 - 요약)

요약내용 ‘품종’이란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재배 및 이용상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균일하며, 세대가 진전되어도 균일한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개체군을 가리킨다. 품종을 재배하는 동안 이형유전자형 분리, 자연교잡, 돌연변이, 이형종자의 기계적 혼입 등에 의해 품종 내에 유전적 변화가 일어나 새로운 특성을 가진 변이체가 생기게 되는데, 그러한 변이체의 자손을 ‘계통’이라고 한다. 신품종의 구비요건은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등 세 가지이다. 신품종이 보호품종으로 되려면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 고유한 품종 명칭을 갖추어야 한다. 작물은 종자 또는 영양체로 번식한다. 종자번식작물의 생식방법에는 유성생식과 아포믹시스가 있고, 영양번식작물은 무성생식을 한다. 유성생식을 하는..

녹색/재배학 2023.07.01

재배학원론 (작물의 분류)

작물의 분류 작물의 식물학적 분류방법 작물의 종류 작물의 대부분은 오랫동안 인위적으로 육성해 온 특수식물로 야생식물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요한 작물일 수록 재배역사가 오래되고, 같은 작물의 원종은 대부분 오래전에 상실됨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식량작물은 밀, 그다음이 벼와 옥수수로 세계 3대 작물로 불린다. 식물학적 분류 식물학적 분류는 형태나 구조의 유사점에 기초를 두고 있음 학명 이명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가 출판한 ‘식물의 종’에서 제창한 것으로 식물의 2가지 이름, 속과 종의 이름을 붙여 명명하는 것이다. 모든 식물을 2개의 단어로 나타내는 이명법이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국제식물명명규약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학명의 구성 학명은 속명(..

녹색/재배학 2023.07.01

재배학원론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작물 재배의 시작과 농경사회 성립 농업의 기원에 관하여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으나 많은 지역에서 동시 발생 약 1~1.2만년 전 홍적세(Plestocene age) 근동지역에서 최초로 경작을 시작 추정 2500~3000년 전 중국문헌에서 ‘오곡’을 언급하고 있음 조, 차조, 콩, 밀, 벼 등 우리가 주요 이용하는 식량작물의 기원은 화곡류(벼, 보리, 밀)이 최초로 7000년 이전에 등장, 그 후 5000 ~ 7000년 사이에 조,호밀, 수수, 감자, 고구마 등이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가지, 고추, 호박, 복숭아, 오렌지 등 채소류와 과일 등이 나옴. 블루베리, 딸기 등은 근래 250년 사이에 등장. 작물이란 무엇인가? 작물은 야상상태의 원형과 비교한다면 특수부분이 매우 발달한 것으로 기형화 된 것으로 볼 ..

녹색/재배학 2023.07.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