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닛로드시스템
- 유닛로드시스템 : 화물을 일정한 표준의 중량이나 부피로 단위화하여 기계적인 힘으로 일괄하역하거나 수송하는 물류시스템을 의미
- 유닛로드화 : 하역을 기계화하고 수송 및 보관을 일괄하여 합리적으로 시스템화하는 것이다.
- 합리화의 대상
- 화물의 중량, 용량, 포장, 형태의 통일성 추구
-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단품을 취급하는 경우
- 비교적 1회당의 단위가 소량이고 발송지가 복잡한 경우
- 일관파렛트화, 프레이트 라이너, 컨테이너화, 협동일관운송
- 유닛로드시스템에 필요한 기기
- 운송기기 : 육상의 유닛로드 전용기기로서 파렛트로더를 부착하고 있거나 컨테이너 로더를 부착하고 있는 경우로서, 철도는 컨테이너 전용화차, 해상은 컨테이너 전용선 및 파렛트 적재장치, 항공운송은 컨테이너 탑재 전용기 등
- 하역기기 : 파렛트 위에 포장화물을 탑재하는 파렛트로더와 단위적재의 이동을 위한 기기로서 컨베이어, 수평이동과 상하이동을 위한 승강기 등
- 유닛로드시스템 도입의 선결과제
- 수송장비 적재함의 규격표준화
- 포장단위 치수 표준화
- 파렛트표준화
- 운반하역장비의 표준화
- 창고보관설비의 표준화
- 거래단위의 표준화
- 유닛로드시스템의 장단점
- 장점
- 파손, 분실위험 감소
- 운송수단의 운용효율 높음
- 하역의 기계화에 의한 작업능률 향상
- 시스템화가 용이
- 단점
- 컨테이너와 파렛트의 확보에 경비소요
- 하역기기 등 고정시설비 투자의 증가
- 포크리프트 등을 사용하기 위한 넓은 공간(2m 정도) 필요
- 파렛트 자체의 공간으로 인한 적재효율의 저하
- 공파렛트, 공컨테이너 등의 회수, 이동관리, 지역적인 소요량의 조정 등 온라인 시스템의 구축 및 관리의 추가에 따른 비용증가
- 장점
- 유닛로드시스템화의 방법
- 파렛트를 이용하는 방법
- 파렛트 로드(Pallet Load) 상태로 일관하여 수송하는 단계가 가능
- 포장 표준화에 따른 포장비 절감 및 화물파손 감소 등
- 파렛트 로더를 사용하여 생산라인에서부터 파렛트에 적재하여 창고보관 및 출하까지 합리화
- 일관파렛트화로서 발화주부터 착화주까지 수송, 하역, 보관 등 전 공정을 통하여 파렛트화
- 컨테이너
- 1956년도 미국 Sea Land Service사에서 미국 내 화물의 연안수송에 이용한 것이 시작이었으며, 항공영역까지도 확대되어 국제 간 화물수송의 주류를 형성
- 수송이 능률적으로 이루어지며 수송 중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
- 컨테이너 사용의 장점 : 수송 능률향상과 수송기관과의 연결의 원활성 확보로 일관수송 가능
- 컨테이너의 운송은 육상운송(대형트럭), 철송(컨테이너 전용화차), 해상운송(세미 컨테이너 또는 풀 컨테이너선), 항공운송(대형화물 전용기) 사용 등 국제 규격화
- 파렛트를 이용하는 방법
-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의 효과
- 보관, 적재, 하역, 수송 등의 작업이 평중화되기 떄문에 물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
- 파렛트를 비롯 관련시설 및 설비의 표준화로 제조비용의 절감
- 포장비의 간호화, 포장인력의 감축으로 인한 포장비용 절감
- 관련 업계의 호환성의 확대로 표준화의 확대
- 수송기관도 유닛로드 구축으로 국가 단위의 낭비 감소
- 전체 물류 흐름이 빨라짐
- 업체보관으로 창고 공간 이용률 향상
- 운반의 활성화 : ULS에 의한 운반활성이 향상
- 작업의 표준화로 작업관리 용이하여 기계화 작업가능 → 하역의 합리화 가능
반응형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하역론 (포장물류 1) (0) | 2023.07.02 |
---|---|
일반하역론 (파레트 풀 시스템, PPS) (0) | 2023.07.02 |
일반하역론 (항만 하역료 / 항공하역) (0) | 2023.06.29 |
일반하역론 (하역 형태 2) (0) | 2023.06.29 |
일반하역론 (하역 형태 1)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