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별 하역작업 일반잡화의 경우
- 규격품 : 파렛트 화물, 컨테이너 화물 등 규격화되어 있어 취급이 용이한 화물로, 하역은 통상 본선 데릭의 카고 풀 끈에 달린 후크에 규격화물을 쌓은 슬링을 걸어서 선내에 적양하게 된다.
- 정량화물 : 일반 포장화물, 포대물 등의 포장품과 개별 포장된 상품 등으로 다른 화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화물로서, 하역방법은 규격화물의 하역방법과 동일하나 중량 50kg 기준으로 한 소중량은 인력에 의하여, 대중량은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하역이 이루어 진다.
- 산화물(bulk cargo) 산화물은 포장하지 않고 그대로 적양하는 곡류, 석탄, 염, 광석, 비료, 목재, 원유, 시멘트 등이 이에 속하며, 주로 특수 설비를 갖춘 전용부두에서 하역이 이루어 진다.
1. 양곡물의 경우 : 전용 부부에서는 전용양곡 사일로가 설치되어 있어 공기흡입장치(언로더)에 의해 화물을 흡입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한 후 직접 사일로에 저장한다.
2. 석탄 및 광석하역 : 언로더나 그랩에 의하여 컨베이어시스템을 통해 야적장에 야적되며, 야적된 화물은 스태커, 리클레이머, 트랙 호퍼를 이용하여 상차되어 반출된다.
3. 고철하역 : 고철전용 부두에서는 육상 크레인을 설치하고 크레인 끈에 자석을 부착하여 하역하며, 고철은 크기와 중량이 다양하기 때문에 하역 초기부터 엑스카베이터를 투입하여 자석에 고철이 많이 붙을 수 있도록 장치한다.
- 특수화물 화물 자체가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떄문에 하역하는 데 특별한 취급과 주의를 요하는 화물
1. 냉동화물 : 냉동차에 직상차되어 냉동창고에 보관한다.
2. 중량화물 : 중량화물은 기고한차, 자동차 등과 같이 단위화물의 중량이 과대한 화물로서 하역에는 Heavy Derrick을 장치한 특수선박이나 또는 육상의 용량이 큰 크레인을 동원하여 하역한다.
3. 용적화물 : 단위화물의 용적이 크거나 특히 긴 장척화물로서 갑판이나 기타의 장소에 적부하는 화물이다.
- 컨테이너 : 전용부두의 경우 부두 내 CY/CFS에서 나온 컨테이너는 마샬링 야드에서 선적 대기하다가 선내작업에 들어가며 일반부두에서의 컨테이너 하역은 CY/CFS가 없기 떄문에 Off-Dock CY에 반입 후 직상차되어 부두의 크레인을 통하여 선내작업이 이루어 진다.
항만하역기기
1. 재래선의 하역설비 : 화물을 운반하는 하역용구, 해치 및 마스트와 데릭 등으로 구성되며, 크레인의 종류로서는 집 크레인과 선상의 갠트리 크레인을 사용하게 된다.
2. 육상하역설비 : 육상의 일반 또는 전용선 하역설비로서 그랩, 슈터, 벨트컨베이어 및 칙산 등이 있다.
3. 컨테이너 하역설비 : 컨테이너 전용부두에는 겐트리 크레인, 트랜스퍼 크레인, 스트래들 캐리어, 야드 트랙터, 윈치 트레인, 포크리프트 등의 설비가 장비되어 있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방식
1. 샤시방식 항만내에서 컨테이너 크레인과 도로용 컨테이너 운송차량인 로드트랙터와 로드샤시를 이용하여 화물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주로 화물 취급량이 적은 소규모 항만이나 컨테이너 야드 면적이 넓은 미국의 일부 항만에서 사용된다. 운영 방식은 다음과 같다.
하역 시 : 로드트랙터와 로드샤시를 이용하여 안벽의 컨테이너 크레인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컨테이너 야드에 장치 및 보관하거나 외부로 직접 반출한다.
선적 시 : 하역 시의 역순으로 진행하며, 반입한 컨테이너를 적재상태로 야드에 보관하였다가 선작이 입항하면 선적스케쥴에 따라 선적한다. 이러한 샤시양식은 별도의 야드장비가 필요 없어 비교적 단순하지만, 컨테이너를 적재상태로 보관할 많은 수량의 로드 샤시가 필요하고 비어 있는 상태의 샤시 보관장소도 별도로 필요하다.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 스트래들 캐리어를 이용하여 안벽과 컨테이너 야드 간 컨테이너를 직접 운송하거나 야드에서 외부 반출입 차량과의 컨테이너 적하차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야드에서는 컨테이너 길이방향 한 줄로 2~3단 적재보관하고 부두 외부 반출입시에는 도로 운송용 차량을 이용하는 컨테이너 하역시스템이다.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하역론 (유닛로드시스템 - ULS ) (0) | 2023.07.02 |
---|---|
일반하역론 (항만 하역료 / 항공하역) (0) | 2023.06.29 |
일반하역론 (하역 형태 1) (0) | 2023.06.29 |
일반하역론 (무인반송차량 / 호이스트 / 기타하역 기기 / 입출하 도크) (0) | 2023.06.28 |
일반하역론 (오더피킹 / 오더피킹 기기)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