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을 꿈꾸며_녹의 강산

물류

일반하역론 (무인반송차량 / 호이스트 / 기타하역 기기 / 입출하 도크)

녹의 강산 2023. 6. 28. 23:02
반응형

무인반송차량

무인반송차 (AGV)는 무궤도 차량에 인력이나 자동으로 짐을 적재하여 지정장소까지 자동주행하게하고 인력이나 나동으로 짐을 내리도록 만든 차량이다. 유연한 반송형태를 취할 수 있어서 FA, FM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반송차량은 Controller에 의해 차체의 구동력으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시스템의 일종이다. 비슷한 용어로 무인견인차가 있다. 이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화물을 상하차하는 대차를 견인하여 지정된 장소까지 자동으로 주행하는 무궤도 차량을 말한다. 이처럼 무인반송차량은 4차산업시대에 너무나 당연한 모습이다. 하물며 일반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가도 로봇들이 무인 서빙을 하는 시대아닌가.

 

호이스트

호이스트는 화물의 권상, 권하, 횡방향 끌기, 견인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총칭하여 소위 ‘권상기’(Hoist)라고 부른다. 이러한 호이스트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1. 체인블록 : 로드체인이 맞물고 있는 로드 시브를 감속기구와 제어기구를 통해서 핸드체인 기어를 조작함으로써 화물을 권상 및 권하하는 장비이다. 2. 체인 레버 호이스트 : 레버의 반복조작에 의해 화물의 권상, 권하, 견인 등을 하는 장치로 로드체인으로는 링크체인 또는 롤러 체인이 사용된다. 3. 와이어식 레버 호이스트 : 레버의 반복조작에 의해 와이어로프를 사용해서 화물의 권상, 권한, 횡방향 끌기 등을 하는 장치이다. 4. 전기 체인블록 : 로드체인이 맞물고 있는 로드시브를 전동기로 감속 회전시켜 권상 및 권하를 하는 장치이다. 5. 전기 호이스트 : 와이어로프를 감고 있는 드럼을 전동기로 감속회전시켜 화물의 권산 및 권하를 하는 장치이다. 6. 전동 윈치 : 와이어로픅를 감고 있는 드럼을 전동기로 감속 회전시켜 화물의 권상, 권하, 횡방향 끌기 등을 하는 장치이다. 7. 공기체인 호이스트 : 로드체인이 맞물고 있는 로드시브를 에어모터로 감속 회전시켜 화물의 권상 및 권하를 하는 장치 이다.

 

파렛타이져(Palletizer)

한국산업규격(KS A 0013)에서는 파렛타이저를 ‘파렛트에 쌓여진 물품을 내리는 기계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파렛트 위에 상자화물이나 봉지화물 등을 일정한 형태로 적재하는 기기로 통용되고 있다.

 

기타하역기기

1. 손수레(Hand Truck) : 흔히 대차라고 부르며 무동력에 경량의 화물운반 시 사용한다.

2. 핸드리프트 트럭 : 스키드에 적재된 화물을 스키드와 함께 이송하는 운반기기

3. 핸드리프터(스태커) : 창고 등에서 마스트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포크를 통해 하역하고 인력으로 운반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4. 리프팅 테이블붙이 핸드트럭 : 유압펌프, 실린더, 링크의 상관기능으로 오르내림이 가능한 테이블을 갖추고 있으며 동시에 이동이 가능한 운반하역기기

5. 파렛트 트럭 창고 또는 공장, 플랫폼 등에서 파렛트 화물을 운송하거나 홈으로부터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는 운반기기이다. 수평이동만 가능하며 상하이동은 불가하다.

6. 테이블 리프터(Table Lifter) : 유압장치로 링크기를 장치하여 하대를 승강시키는 장치

7. 파렛트 로더 : 트럭 또는 컨테이너 하대 위로 파렛타이저드 화물을 이동 시키는 기구로 하대에는 로더의 롤러가 주행할 레일이 입구에서 안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입출하 도크

1. 플러쉬 도크 : 가장 평범한 형태의 도크로 트럭이나 기차가 문 출입구로 다가가 트럭이나 유개화차의 후면이나 측면에서 상하차 하역을 할 수 있다.

2. 드라이브인 도크 : 문이 열릴 때 트럭이나 트레일러가 공장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문을 닫고 하역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플러쉬 도크와 같다.

3. 드라이브 스루 도크 : 공장을 가로질러 마주보는 한쌍의 문으로 트럭이 들어오면 문이 닫히고 상하차가 완료되면 다른 쪽 문이 열리고 틀럭이 빠져 나간다.

4. 핑거토크 : 많은 트레일러들을 한꺼번에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 도크의 양쪽에 트레일러들이 등을 맞대고 상하차 할 수 있다.

 

* 도크레벨러 : 주로 트럭의 하대 높이와 흠의 높이 차이를 조절해서 적재함이나 포크리프트, 파렛트 트럭 등에서 용이하게 하역을 할 수 있도록 한 시설 ㅇ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