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관창고
- 창고의 일반적 개념
- 창고의 역할 : 창고의 주된 역할은 보관을 목적으로 하는 보관창고의 성격이 강하였으나,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재료를 비롯하여 제조과정의 반제품을 일시 저장하거나, 중간제품이나 완성품을 보관하는 창고 등의 성격으로 확장되었다.
- 광의의 개념에서 공장, 물류센터, 영업창고 등을 포함하며 제품을 보관 및 공급하는 곳이라 보면 된다.
- 창고의 기능
- 보관기능 : 품질 특성이나 영업 전략에 따른 보관기능
- 재고관리 기능 : 불필요한 재고 감축과 품절 방지
- 수배송과의 연계가능 : 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거점으로서의 기능
- 유통가공 기능 : 포장, 검품 등의 재가공 기능
- 물류비의 관리 기능 : 창고 업무와 관련된 물류비의 절감
- 물류환경변화에 대한 대응기능
- 창고의 분류
- 영업창고
- 공공창고
- 사설보세창고
- 농업창고
- 보관고
- 협동조합창고
- 가건물 창고
- 창고의 구제에 의한 분류
- 보통창고 : 우리나라의 재래식 창고를 의미한다. 창고의 내부에 아무런 설비가 없으면 부분적으로 선반을 설치한 곳이다. 각각의 Prat에는 하역기계를 사용하기도 하나 시스템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단계를 말한다.
- 기계화 창고 : 랙시설을 갖추고 포크리프트, 트럭 및 크레인 또는 컨베이어 등에 의해서 운영된다.
- 자동화창고
- 컴퓨터에 의해 정보의 처리, 하역, 보관, 운반 등의 입출고작업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창고이다.
- 기계화 창고와 자동화 창고의 차이점은 ‘정보처리시스템과 일체화되어 있는가, 아닌가’라는 점이다.
- 제어방식으로는 온라인 제어방식과 오프라인 제어방식으로 구분된다.
- 시설규모에 따라 간이자동화창고와 자동창고로 구분하기도 한다. 간이자동화창고는 기존 건물을 개조하여 적은 투자로 랙을 설치하여 제한적인 자동창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 기능에 따른 분류
- 보관창고 : 판매지원형의 창고로 유통경로의 단축, 판매의 확대, 서비스의 향상, 물류비의 절감 효과가 있다.
- 유통창고 : 창고의 기능과 운수의 기능을 겸비하여 물품이 유통 보관되는 창고이다.
- 보세창고 : 관세법에 근거를 두고 세관장의 허가를 얻어 수출입화물을 취급하는 창고를 말하며 수출입세, 소비세 미납화물을 보관하는 창고이다.
- 운영형태에 의한 창고 분류
- 자가창고 : 자가창고는 직접 소유하고 자기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를 말한다. 자가창고는 임대창고와 비교할 때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수요가 안정적인 경우나 특수한 창고보관기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 영업창고 : 영업창고란 다른 사람이 기탁한 물품을 보관하고, 그 대가로 보관료를 받는 창고를 말한다. 자가창고와 마찬가지로 화물인도, 보관, 선적, 그리고 보관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업창고의 창고료는 보관료와 하역료로 구성되어 있다.
- 리스창고 : 기업이 보관공간을 리스하는 것은 영업창고의 단기적 임대와 자가창고의 장기적 계약사이의 중간적인 선택을 나타낸다.
- 장점 : 낮은 임대요금으로 보관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임대기간에 따라 사용자가 보관공간이나 그와 관련된 제반 운영을 직접통제할 수 있다.
- 단점 : 임대계약을 통해 특정 기간 동안 공간 임대료를 지불할 것을 보증하기 떄문에 영업창고처럼 시장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관장소를 탄력적을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다.
- 자동창고 : 생산량 급증 등으로 인한 보관 수단의 합리화와 원가절감 및 경비절감 효과로 인한 작업능률 향상으로 기업이윤에 기여한다.
- 유통비 경감, 신속한 업무처리
- 재고관리 기능의 개선을 통한 수익성의 개선
- 인건비의 급상승 및 인력확보의 어려움
- 물적 유통의 급증
- 생산 유통 시스템의 효율화와 생력화 등의 필요성으로 인해 자동창고가 필요하다.
반응형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물운송론 (운송 개요) (0) | 2023.07.06 |
---|---|
보관하역론 (DRP / ERP) (0) | 2023.07.06 |
보관하역론 (재고관리 3) (0) | 2023.07.05 |
보관하역론 (재고관리 2) (0) | 2023.07.05 |
보관하역론 (재고관리 1)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