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을 꿈꾸며_녹의 강산
반응형

전체 글 32

재배학원론 (작물의 분류)

작물의 분류 작물의 식물학적 분류방법 작물의 종류 작물의 대부분은 오랫동안 인위적으로 육성해 온 특수식물로 야생식물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요한 작물일 수록 재배역사가 오래되고, 같은 작물의 원종은 대부분 오래전에 상실됨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식량작물은 밀, 그다음이 벼와 옥수수로 세계 3대 작물로 불린다. 식물학적 분류 식물학적 분류는 형태나 구조의 유사점에 기초를 두고 있음 학명 이명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가 출판한 ‘식물의 종’에서 제창한 것으로 식물의 2가지 이름, 속과 종의 이름을 붙여 명명하는 것이다. 모든 식물을 2개의 단어로 나타내는 이명법이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국제식물명명규약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 학명의 구성 학명은 속명(..

녹색/재배학 2023.07.01

재배학원론 (재배식물의 기원과 발달)

작물 재배의 시작과 농경사회 성립 농업의 기원에 관하여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으나 많은 지역에서 동시 발생 약 1~1.2만년 전 홍적세(Plestocene age) 근동지역에서 최초로 경작을 시작 추정 2500~3000년 전 중국문헌에서 ‘오곡’을 언급하고 있음 조, 차조, 콩, 밀, 벼 등 우리가 주요 이용하는 식량작물의 기원은 화곡류(벼, 보리, 밀)이 최초로 7000년 이전에 등장, 그 후 5000 ~ 7000년 사이에 조,호밀, 수수, 감자, 고구마 등이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가지, 고추, 호박, 복숭아, 오렌지 등 채소류와 과일 등이 나옴. 블루베리, 딸기 등은 근래 250년 사이에 등장. 작물이란 무엇인가? 작물은 야상상태의 원형과 비교한다면 특수부분이 매우 발달한 것으로 기형화 된 것으로 볼 ..

녹색/재배학 2023.07.01

일반하역론 (항만 하역료 / 항공하역)

항만하역료 항만 하역료의 산정 하역료 중 본선 신항 내 하역노임을 선주, 화주 중 누가 부담하느냐의 결정은 선화주간의 용선계약에 따르나 정기선의 경우 선주 부담이 통용된다. 일당 양하책임량은 용선계약에 따라 정해지며 선급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만톤급 선박의 경우 통상적으로 1일 1000톤이며, 양하시간은 주야 구분없이 24시간을 기준으로 이뤄진다. 1. 정박허용시간(Laytime Allowed) : 용선에 적재된 화물은 일정기간 내에 하역작업을 완료하여야 한다. 정박허용기간 = 선적량 / 일당양하 책임량 2. 양하준비완료 통지(N/R : Notice Of Readiness) : 선장은 입항지에 선박이 정박되면 적재된 화물의 양하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문을 작성하여 수화주에게 정식으로 전달하게 되..

물류 2023.06.29

일반하역론 (하역 형태 2)

품목별 하역작업 일반잡화의 경우 - 규격품 : 파렛트 화물, 컨테이너 화물 등 규격화되어 있어 취급이 용이한 화물로, 하역은 통상 본선 데릭의 카고 풀 끈에 달린 후크에 규격화물을 쌓은 슬링을 걸어서 선내에 적양하게 된다. - 정량화물 : 일반 포장화물, 포대물 등의 포장품과 개별 포장된 상품 등으로 다른 화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화물로서, 하역방법은 규격화물의 하역방법과 동일하나 중량 50kg 기준으로 한 소중량은 인력에 의하여, 대중량은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하역이 이루어 진다. - 산화물(bulk cargo) 산화물은 포장하지 않고 그대로 적양하는 곡류, 석탄, 염, 광석, 비료, 목재, 원유, 시멘트 등이 이에 속하며, 주로 특수 설비를 갖춘 전용부두에서 하역이 이루어 진다. 1. 양곡물의 경우 ..

물류 2023.06.29

일반하역론 (하역 형태 1)

철도 하역 TOFC(Trailer On Flat Car) 화물을 실은 대형 트레일러를 화차에 실어 철도로 수송하는 방법이다. 1. 피기백 피기백은 돼지가 새끼를 업은 모습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트레일러나 트럭에 의한 화물운송 도중 화물열차의 대차 위에 트레일러나 트럭을 화물과 함께 실어 운송하는 방법으로 화물적재단위가 큰 경우 편리하나 하대가 Flat하여 새로 방향의 홈과 피기 패커 등의 하역 기계가 필요하다. 2. 캥거루 장거리 정기노선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성을 높이고 트럭에 의해서 지역간 집하 및 인도를 신속히 하고자 두 운송업체가 결합한 형태로, 정시인도와 열차배차의 규칙성, 하역기계의 불필요, 연료의 효율성 등의 장점이 있다. 트럭이나 트레일러의 바퀴가 화차 하대 밑으로 낙하되는 형태로 ..

물류 2023.06.29

일반하역론 (무인반송차량 / 호이스트 / 기타하역 기기 / 입출하 도크)

무인반송차량 무인반송차 (AGV)는 무궤도 차량에 인력이나 자동으로 짐을 적재하여 지정장소까지 자동주행하게하고 인력이나 나동으로 짐을 내리도록 만든 차량이다. 유연한 반송형태를 취할 수 있어서 FA, FM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반송차량은 Controller에 의해 차체의 구동력으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시스템의 일종이다. 비슷한 용어로 무인견인차가 있다. 이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화물을 상하차하는 대차를 견인하여 지정된 장소까지 자동으로 주행하는 무궤도 차량을 말한다. 이처럼 무인반송차량은 4차산업시대에 너무나 당연한 모습이다. 하물며 일반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가도 로봇들이 무인 서빙을 하는 시대아닌가. 호이스트 호이스트는 화물의 권상, 권하, 횡방향 끌기, 견인 등을 목적..

물류 2023.06.28

일반하역론 (오더피킹 / 오더피킹 기기)

오더피킹 피킹이란 주문에 따라 제품을 보관하고 있는 보관설비로부터 선별하여 꺼내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오더피킹이란 저장 중에 있는 창고의 재고에서 수주받은 물품을 주문별로 골라내어 출하를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오더피킹은 수주라고 하는 상적 활동의 일환으로서 상적 정보를 토대로 한 주문서, 출하전표, 납품확인서, 송장, 포장지시서 및 불출지시서 등 정보처리와 불출지시서에 의해 불출된 물품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다. 오더피킹의 방식에는 다음과 같다. 사람이 물품을 가지러 가는 방법 물품을 사람(피커)의 장소에 갖고 오게 하는 방법 : 회전선반이나 컨베이어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이 사람 앞으로 도착하게 한다. 1인 1건 방법 : 1인의 피커가 1건의 주문표로 요구되는 물품을 피킹한다. 릴레이 방법 : ..

물류 2023.06.28

일반하역론 (컨베이어 정의 / 컨베이어 종류)

컨베이어 정의 컨베이어는 화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기계로서 비교적 간단한 하역 작업이나 짧은 거리의 이동, 고정된 장소에서 하역의 기계화 및 자동화를 포함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의 종류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니 하단에서 설명 하겠다. 컨테이너는 좁은 장소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중력을 이용한 운반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포장이 안된 물품도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이 완료되지 않은 과일이나 채소 등 농산품 등에도 사용이 된다. 운반거리의 길고 짧음이 작업능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도 장점이다. 하지만, 속도가 한정적으로 기본적으로 고정적인 작업시간이 있다는 점이고, 양단에 반드시 인력이 필요하다. 또한 컨베이어의 맞지 않는 모양을 가지고 있다면 시스템의 사용이 불가 하다. 그..

물류 2023.06.28

일반하역론 (지게차 정의/ 지게차 종류 / 크레인 정의 / 크레인 종류)

지게차의 정의 우리가 흔히 보고 있는 지게차는 파렛트 화물이나 중량물 하역에 사용되는 차량으로 내리고 올리고 꺼내고 집어넣어 운반하는 등 복합 작업 수행이 가능한 하역기계이며, 물류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장비라 할 수 있다. 지게차는 포크를 상하로 조작가능한 마스트를 갖추고 하역의 6요소의 대부분 수행이 가능한 복합작업 기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지게차의 종류에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1. 카운터 밸런스형(Counter Balance) : 포크 등 승강 장치를 차체 앞에 설치한 형상으로 하중능력은 0.5T~30T 까지의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며, 내연 식과 전동식 두가지가 있다. 2. 스트래들 리치형(Straddle Reach) : 차체 전방에 주행차량이 붙은 2개의 아..

물류 2023.06.26

일반하역론 (컨테이너 정의/ 컨테이너 구분 / 컨테이너 화물의 종류)

컨테이너 정의 컨테이너? 컨테이너란 물건을 담는 용기를 의미한다. 광의의 컨테이너는 여러 가지형의 일반용기의 상품상자 등의 총칭을 의미하나, 주고 수송용 컨테이너를 지칭한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1964년 ISO에서 규정한 다음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1. 내구성과 반복사용에 적합한 강도일 것 2. 상품수송을 단일 또는 다수의 수송방식에 의해서 도중에 다시 채우지 않고 용이하게 수송이 가능토록 특별한 설계가 되어 있을 것 3. 하나의 수송방식에서 다른 수송방식으로 환적할 경우 쉽게 하역이 가능한 장치가 붙어 있을 것 4. 넣고 꺼내는 것이 쉽게 설계되어 있을 것. 5. 내용적이 1m³(1CBM) 이상일 것 이러한 컨테이너는 포장비를 절약하거나 생산능률의 향상, 운송비 절약, 보험료 절약 등의 안전한 수..

물류 2023.06.26
반응형